국민연금이 역대 3번째로 인상률 등 개혁을 진행했습니다. 직장인으로서 어떠한 변경 사항이 있는지 표로 알기 쉽게 정리하였는데요. 아래 내용을 통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우리의 소중한 자산과 연금을 보호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목차>
국민연금 개혁 소식
이번 국민연금 개혁은 많이 내고 많이 돌려받는다는 취지로 발표되었습니다. 아래와 같이 쉽게 정리해 볼 수 있어요.
- 보험료율(내는 돈) : 9% → 13% (4% 인상)
- 소득대체율(받는 돈) : 4% → 43% (3% 인상)
- 수급 개시 연령 : 65세 (동일)
이 외 자동조정장치, 지급보장 명문화 등의 내용도 있는데요.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볼게요. 우선, 얼마를 내는 것으로 변경되는지에 대한 정보로 시작할게요. 국민연금 인상률 개혁 직장인을 위한 표 정리 자료! 아래 내용 이어서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인상 금액
인상되는 금액 즉 보험료율(내는 돈)의 변경 사항입니다. 아래 표 참고해 주세요.
연도 | 보험료율 | 월 300만원 월급 기준 | |
현재(2025년) | 9% | 27만원 (본인 부담 13만 5천) |
|
2033년 | 13% | 39만 (본인 부담 19만 5천) |
33년 까지 매 년 0.5% 인상 |
25년부터 매 년 0.5% 인상하여 2033년에 13%로 인상됩니다. 월 300만 원 월급 급여자의 기준으로 39만 원까지 인상됩니다. 회사에서 반을 부담하니 괜찮은 것 아니냐 할 수 있지만, 회사가 바보가 아닌 이상 이 금액도 급여에 포함하여 지급해 주는 것이겠죠. 즉, 위 금액은 본인 부담으로 귀결되는 개념입니다. 꽤 많이 오르는군요.
받게 되는 금액
반대로, 많이 오래 납입했으니 받게 되는 금액을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표 참고해 보세요. 월 309만 원 급여 수급자가 30년 납입했을 경우의 기준입니다.
기준 | % | 월 309만원 월급 기준 |
현재 | 40% | 123만 7천원 |
2026년~ | 43% | 132만 9천원 |
약 9만 원 인상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 받게 되는 금액과 내게 될 금액의 차이를 검토해 볼까요?
300만 원 수준의 월 급여자 기준
- 월 보험료율 인상 분(내는 돈) - 월 소득대체율 인상 분(받는 돈) : 120,000원 - 90,000원
- 즉, 약 3만 원가량 더 내는 샘입니다.
- 화폐가치의 하락을 생각하면 그 크기는 더 클 것입니다.
수급 개시 연령
국민연금 인상률과 지급률 개혁을 직장인을 위한 알기 쉽게 표 정리 자료를 보셨고요. 이번에는 수급 개시 연령을 알아보겠습니다. 수급개시 연령은 65세입니다.
퇴직 나이가 61로 보통 잡는다고 하면 공백기가 발생합니다. 때문에 이를 메꿀 준비가 필요한데요. 나이가 들고 퇴직한 상황에서 새로운 밥벌이를 준비한다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때문에 수급개시 연령을 조절하고 변경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이래라저래라 쉽지 않은 인생입니다. 불투명한 국민연금 소득대체율도 걱정되는데 공백기도 생각해야 하는 우리 삶입니다.
고갈 시점
국민연금은 5년마다 추계하고 있습니다.
기존 국민연금 고갈 시점은 2055년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개혁을 통해 2064년으로 연기되었습니다.
- 2055년 → 2064년
2025년 올해 기준으로 39년 남았습니다. 국민연금 기금 운용을 통해 변경될 수 있기도 합니다.
기타 사항
자동조정장치
이번 국민연금 인상률 개혁으로 직장인을 위한 표 정리 자료를 공유하였는데요. 자동조정장치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이는, 인구나 경제 상황 등의 여건으로 연금액 및 보험금을 조절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예로, 사람들이 오래 살게 되는 미래에는 연금 주는 기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자동으로 연금액을 줄이는 것을 말합니다.
- 한 줄 정리 : 연금 지급액을 상황에 맞게 조절하는 것
지급보장 명문화
그리고 지급보장 명문화라는 것이 있는데요. 청년세대의 연금 재정 불안감을 위한 장치입니다. 국민연금 지급을 보장한다는 법률을 명시하겠다는 것인데요. 하지만 아무리 법으로 만들면 뭐 합니까. 국민연금 고갈되면 어차피 주지도 못할 텐데요. 빛 좋은 개살구라고 보시면 됩니다.
- 한 줄 정리 : 국민연금 지급 약속을 법으로 지정한다는 것
오늘은 국민연금 인상률 개혁 소식을 직장인의 입장으로 쉽게 이해하도록 표로 정리하여 보았습니다. 이번 연금 개혁은 사실 청년들에게 불리한 상황입니다. 연금 고갈은 확실한데, 당장 많이 걷고 당장 많이 준다면 중장년층에게 혜택이 돌아가고 청년은 돈만 내다가 끝날 테니까요.
이번 연금 개혁이 어떻게 제정될지 계속 지켜봐야 하겠습니다.